백준 2577번 - 숫자의 개수 with Python
Q. 세 개의 자연수 A, B, C가 주어질 때 A × B × C를 계산한 결과에 0부터 9까지 각각의 숫자가 몇 번씩 쓰였는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A = 150, B = 266, C = 427 이라면 A × B × C = 150 × 266 × 427 = 17037300 이 되고, 계산한 결과 17037300 에는 0이 3번, 1이 1번, 3이 2번, 7이 2번 쓰였다.
입력> 첫째 줄에 A, 둘째 줄에 B, 셋째 줄에 C가 주어진다. A, B, C는 모두 1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는 A × B × C의 결과에 0 이 몇 번 쓰였는지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둘째 줄부터 열 번째 줄까지 A × B × C의 결과에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각각 몇 번 쓰였는지 차례로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https://www.acmicpc.net/problem/2577
2577번: 숫자의 개수
첫째 줄에 A, 둘째 줄에 B, 셋째 줄에 C가 주어진다. A, B, C는 모두 1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www.acmicpc.net

먼저 list 형의 특징을 보겠다.
str형을 list로 넣을 때는 글자 별로 따로따로 들어가게 되지만,
int형을 list로 넣으면 숫자 그대로 들어간다. (int형을 list에 넣을 때에는 반복이 가능한 형태로 만든 후 넣어야한다. 주로 map함수와 함께 사용하여 list에 넣을 수 있게 된다.)
예제에서와 같이 17037300을 각 글자로 쪼개서 list형에 넣으려면
먼저 이 숫자를 str형으로 바꿔준 후,
list를 생성하고 다시 int형으로 바꾼다.
그 후, 그 글자가 (혹은 숫자가) 몇번 나왔는지 확인하려면 .count()함수를 사용한다.
괄호 속에 찾고자 하는 수를 넣게 되면 그 수가 몇 개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위에 말한 것들을 종합하여 코드를 짜내면
A = int(input())
B = int(input())
C = int(input())
K = str(A*B*C)
K = list(map(int, K))
for i in range(10):
print(K.count(i))
위처럼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우당탕탕 파이썬 with 하루하나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8958 파이썬 - 연속 정답에 추가 점수 부여하고 틀리면 초기화하기! (0) | 2022.03.30 |
---|---|
백준 3052 파이썬 - 서로 다른 값의 개수 출력하기(feat. set함수) (0) | 2022.03.29 |
백준 2562 파이썬 - 리스트 값을 하나씩 추가한 후 최댓값 구하기 (0) | 2022.03.27 |
백준 10818 파이썬 - 목록에서 최솟값, 최댓값 찾아내기!🔍 (0) | 2022.03.26 |
백준 1110 파이썬 - 더하기 사이클 (0) | 2022.03.25 |